티스토리 뷰
Dto는 Controller, View, Model 등에서 사용되는 클래스이고,
Entity는 말 그대로 엔티티, 즉 DB에 더 가깝게 쓰이는 클래스이다.
실제 DB에 저장될 때는 Entity 클래스가 사용된다고 이해하고 있다.
해당 코드는 사용자가 보낸 채팅을 저장하는 서비스 로직이다.
그래서 혼란스러운 지점이 무엇인가하면...
받아온 chatRoomId를 통해 chatRoomEntity를 찾는다.
그리고 해당 엔티티를 chatMessageRequestDto에 set 해준다.
어라랏? set하는 부분에서 혼란스러웠던건데... 갑자기 이해가 확 됐다.
해당 코드는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nerationTarget encountered exception accepting command : Error executing DDL "Create ..." (0) | 2024.03.01 |
---|---|
JUnit의 세부 모듈과 생명주기 (1) | 2024.02.25 |
[STOMP/채팅 구현] 1. 설정파일 작성 (0) | 2024.02.17 |
채팅 ERD (Feat. ERD Cloud) (1) | 2024.02.11 |
자주 사용되는 JPA 어노테이션 (0) | 2024.02.0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bcrypaswordencoder
- 웹
- 리트코드 1768
- RDD
- 컴공
- 자바 1004번
- 개발
- 스프링부트
- BFS
- 컴퓨터학과
- 생활코딩
- 스파크
- 동덕여대
- 자바
- 스프링 강의
- 코딩
- 그리디 알고리즘
- 동덕여대 컴퓨터학과
- 백준9375번
- 아이엘츠
- 안드로이드
- 코틀린
- 알고리즘
- 백준 2108
- 자바 9375
- 백준 1004
- 리트코드 1768 해석
- 백준
- 프로그래밍
- 컴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