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종속성(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네트워크 설정 등)을 하나의 컨테이너로 패키징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환경 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준다.
예를 들어,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 동료 개발자나 QA 팀에 전달하면, 해당 이미지를 통해 종속성, 네트워크 설정 등 모든 환경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협업 시 매우 유용하며, 개발 단계에서 테스트나 배포 환경의 차이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커와 가상 머신의 차이점
도커는 가상 머신(VM)과 비교되는데, 이는 두 기술이 유사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 가상 머신: 각 가상 머신은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구동한다. 즉, 가상 머신은 하드웨어 자원을 분리해 각 VM마다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 도커: 도커는 별도의 운영체제를 구동하지 않고, 호스트 운영체제 위에서 격리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호스트 운영체제를 공유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도커의 장점
- 가볍고 빠르다: 도커는 별도의 운영체제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가상 머신보다 가볍고 빠르게 동작한다.
- 배포가 용이하다: 도커를 사용하면 동일한 환경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배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과의 시너지: 최근에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같은 도구와 함께 사용되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의 관리가 한층 더 수월해지고 있다.
도커의 주요 명령어
- run: 새로운 컨테이너 실행
- ps: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보기
- stop: 실행 중인 컨테이너 중지
- start: 중지된 컨테이너 재시작
- rm: 컨테이너 삭제
- images: 다운로드된 도커 이미지 목록 출력
- rmi: 이미지 삭제
- build: 도커 이미지 빌드
- tag: 도커 이미지에 태그 추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컴공
- 생활코딩
- 리트코드 1768
- 스프링부트
- 웹
- 아이엘츠
- 백준
- 동덕여대 컴퓨터학과
- 코딩
- 자바
- 동덕여대
- 백준9375번
- 스파크
- 안드로이드
- 컴퓨터학과
- 코틀린
- 자바 1004번
- 백준 2108
- BFS
- 컴과
- RDD
- 자바 9375
- 그리디 알고리즘
- 스프링 강의
- 프로그래밍
- 리트코드 1768 해석
- bcrypaswordencoder
- 개발
- 알고리즘
- 백준 1004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