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Git repo생성: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만들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Git을 초기화하여 새로운 Git repo를 생성합니다.
2. .gitignore 파일 생성:
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임시 파일 및 빌드 관련 파일을 무시할 수 있는 .gitignore 파일을 생성합니다.
3. 도커 컨테이너 설정: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Dockerfile을 작성합니다.
(requirements.txt에 사용할 파이썬 라이브러리와 버전 기재, 아래는 requirements파일 작성 예시)
spacy==3.0.6
scikit-learn==0.24.1
# requirements.txt에 기재된 패키지 설치하는 명령어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4. 도커 이미지 빌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고, 이미지를 Docker Hub에 푸시합니다.
docker build --tag 이미지명:태그 .
'Data science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도커 초기 가이드 (0) | 2023.10.31 |
---|---|
도커(컨테이너) 사용하기 (1) | 2023.10.30 |
[NLP/pretraing] 모르는 것들 정리...(4) (0) | 2023.10.28 |
[NLP/전처리] 모르는 것들 정리...(3) (0) | 2023.10.28 |
[머신러닝] 모르는 것들 정리...(2) (0) | 2023.10.2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스프링부트
- 개발
- 아이엘츠
- 코딩
- 프로그래밍
- 자바
- 백준 1004
- RDD
- 웹
- 리트코드 1768 해석
- 스파크
- 컴과
- 동덕여대
- 생활코딩
- 컴퓨터학과
- 백준
- bcrypaswordencoder
- 컴공
- 백준 2108
- 자바 9375
- 스프링 강의
- 그리디 알고리즘
- 코틀린
- 백준9375번
- 알고리즘
- 자바 1004번
- 동덕여대 컴퓨터학과
- 리트코드 1768
- BFS
- 안드로이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