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당 프로젝트는 화상채팅 기능을 포함한다.
화상채팅은 주로 WebRTC를 사용해서 구현한다.
그럼 WebRTC에 대해 알아보자.
아주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해보았다.
기존 방식과 WebRTC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기존 방식
서버를 거쳐 메세지를 주고 받음
WebRTC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가 직접 통신함(P2P)
여기서 WebRTC는 시그널링 서버를 필요로 한다.
시그널링 서버는 클라이언트 간의 P2P 통신을 위해 초기 연결 설정을 도와주는 서버이다.
시그널링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IP 주소, 포트 등)과 미디어 정보(코덱 등)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며 해당 정보는 SDP라는 형식을 통해 주고받는다. 여기서 핵심은 시그널링 서버는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 설정에만 관여하며 그 후의 미디어 데이터는 전송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밖에도 시그널링 서버를 통해 연결하는 과정에서 ICE 프로토콜, STUN 서버, TURN 등이 사용된다.)
'Project > 원격진료체온측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진료체온측정] 4. AWS IoT 연결 불안정 (Connection temporarily lost) (0) | 2024.08.18 |
---|---|
[원격진료체온측정] 2. 이슈 발행을 통한 Git 협업 (feat. 레이블 설정 오류) (0) | 2024.07.02 |
[원격진료체온측정] 1. 문제상황을 기록하고 공유하자 (0) | 2024.07.0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스프링 강의
- 아이엘츠
- 백준 2108
- 컴퓨터학과
- 동덕여대 컴퓨터학과
- 백준9375번
- 컴공
- BFS
- 백준 1004
- 자바 9375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자바 1004번
- 동덕여대
- 자바
- 스프링부트
- 생활코딩
- 웹
- 코틀린
- 리트코드 1768
- 안드로이드
- bcrypaswordencoder
- 그리디 알고리즘
- 코딩
- 스파크
- 개발
- 컴과
- RDD
- 리트코드 1768 해석
- 백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