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슬슬 취업 준비를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
갑작스럽게 코딩테스트를 볼 일이 생길까 하여 급하게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키트를 열어보았다.
출제 빈도 높은거부터 차근차근 풀어보려고 한다!
첫번째는 해시다.
문제 설명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
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실에 총 4마리의 폰켓몬이 있고,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3번, 1번, 2번, 3번]이라면 이는 3번 폰켓몬 두 마리, 1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때, 4마리의 폰켓몬 중 2마리를 고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
- 첫 번째(3번), 두 번째(1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세 번째(2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이때, 첫 번째(3번) 폰켓몬과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은 한 종류(3번 폰켓몬 두 마리)의 폰켓몬만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방법들은 모두 두 종류의 폰켓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예시에서 가질 수 있는 폰켓몬 종류 수의 최댓값은 2가 됩니다.
당신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가지길 원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포함해서 N/2마리를 선택하려 합니다. N마리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아, 그때의 폰켓몬 종류 번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입니다.
- nums의 길이(N)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항상 짝수로 주어집니다.
- 폰켓몬의 종류 번호는 1 이상 200,000 이하의 자연수로 나타냅니다.
-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도,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 개수의 최댓값 하나만 return 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6마리의 폰켓몬이 있으므로, 3마리의 폰켓몬을 골라야 합니다.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고르기 위해서는 3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 4번 폰켓몬 한 마리를 고르면 되며, 따라서 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6마리의 폰켓몬이 있으므로, 3마리의 폰켓몬을 골라야 합니다.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고르기 위해서는 3번 폰켓몬 한 마리와 2번 폰켓몬 두 마리를 고르거나, 혹은 3번 폰켓몬 두 마리와 2번 폰켓몬 한 마리를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최대 고를 수 있는 폰켓몬 종류의 수는 2입니다.
긴장하고 읽었는데 다읽고 보니 해시맵을 사용하면 되는 아주 간단한 문제다.
종류 번호를 Key값으로 두고 개수를 Value로 저장해보자.
이때 N/2가 해당 해시맵 원소 개수보다 작다면 N/2가 답이 되고,
반대의 경우라면 해시맵 원소 개수가 답이 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s) {
int answer;
// HashMap 생성
Map<Integer, Integer> mons = new HashMap<Integer, Integer>();
// HashMap에 값 저장
for(int num : nums) {
if(mons.get(num) != null) {
mons.put(num, mons.get(num) + 1);
} else {
mons.put(num, 1);
}
}
// 최대 개수 조건식
if(nums.length / 2 < mons.size()) {
answer = nums.length / 2;
} else {
answer = mons.size();
}
return answer;
}
}
IDE를 사용하지 않고 공식 문서를 보며 코딩하다보니 생각보다는 조금 오래걸렸다.
그래도 자동완성 대신에 직접 찾아가면서 하니깐 확실히 문법이 더 정확히 머리에 남는거 같다.
그리고 문서 찾아보는 습관이 조금 드는거 같기도...하다!
다음 문제도 화이팅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1954] 달팽이 숫자 (0) | 2024.10.27 |
---|---|
[SWEA/2072] 홀수만 더하기 (1) | 2024.10.13 |
[백준1004번/자바] 어린 왕자 (4) | 2024.07.14 |
[백준9375번/자바] 패션왕 신해빈 (0) | 2024.07.05 |
[백준13305번/자바] 주유소 (0) | 2024.07.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컴퓨터학과
- 알고리즘
- 컴과
- 자바 1004번
- 백준9375번
- 프로그래밍
- 컴공
- 백준 1004
- 아이엘츠
- 그리디 알고리즘
- 웹
- RDD
- 자바 9375
- 동덕여대 컴퓨터학과
- 안드로이드
- 생활코딩
- 코딩
- 개발
- 리트코드 1768 해석
- BFS
- 스프링 강의
- 스프링부트
- 자바
- bcrypaswordencoder
- 백준
- 백준 2108
- 코틀린
- 동덕여대
- 리트코드 1768
- 스파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